본문으로 바로가기
6. 종묘사직・궁궐・성균관
서울역사답사기 6 종묘사직, 궁궐, 성균관
- 저자김현정, 홍순민, 김웅호, 김지영, 이경구, 장지연, 이윤상, 박현순
- 발행처서울역사편찬원
- 발행일
2022년 11월 14일
- 페이지424P
- 열람수1695회
차례
- 책을 펴내며 서울역사답사기6 종묘사직 궁궐 성균관
- ○ 총설
- 조선시대 서울답사를 위한 채비 | 김현정 / 010
- ○ 첫 번째 답사, 종묘사직 - 나라의 사당 종묘, 안녕과 풍요를 비는 제단 사직 | 홍순민 / 030
- 종묘와 사직 자리
- 종묘 가는 길
- 심화학습 | 외대문과 신로 향로 어로 세자로
- 종묘의 공간 1: 대기 및 준비 공간
- 종묘의 공간 2: 제의 공간
- 사직단 가는 길
- 사직단의 구조
- 사직단의 수난
- ○ 두 번째 답사, 경복궁 - 조선왕조를 대표하는 공간 | 김웅호 / 92
- 한양 천도와 수도 건설
- 광화문 앞길의 조성과 경복궁 창건
- 임진왜란 발발과 경복궁 파괴 그리고 궁궐 터의 활용
- 경복궁 중건과 후원 확장
- 경복궁 내부 둘러보기
- ○ 세 번째 답사, 창덕궁 - 걷다보면 마주치는 선정의 흔적들 | 김지영 / 142
- 창덕궁으로 가는 길: 번잡한 돈화문길을 상상하다
- 창덕궁의 안과 밖, 규장각이 있어야 할 자리
- 누적된 왕들의 흔적과 추모의 정치
- 왕조의 합법적 승계를 위한 공간, 사라진 동궁
- 후원: 숨겨진 사적 공간에서 열린 사귐의 동산으로
- 궁궐 담장에 붙은 집들
- 우리가 창덕궁에서 기억하는 것들, 잊혀진 것들
- ○ 네 번째 답사, 창경궁 - 시끌벅적 배오개에서 운치 가득한 창경궁까지 | 이경구 / 192
- 여기는 서울의 동쪽: 동부와 배오개시장
- 왕실 사람들, 창경궁 지킴이: 별궁과 군영
- 창경궁 둘러보기 1: 홍화문과 외전
- 창경궁 둘러보기 2: 내전
- 창경궁 둘러보기 3: 후원, 궐내각사, 동궁
- 창경궁의 동쪽: 함춘원과 경모궁, 대한의원과 한국 근대의학
- 심화학습 | 창경궁 변천사
- ○ 다섯 번째 답사, 경희궁 - 주인공이 되어 본 적 없는 경희궁 | 장지연 / 242
- 광해군의 이궁에서 서궐까지
- 공터, 학교, 회사, 박물관과 미술관에 이르기까지
- 국립기상박물관에서 굽어보는 한양도성
- 돈의문역사관의 경희궁 흔적과 흥화문의 수난
- 갈팡질팡 서울시립미술관, 정전 숭정전과 왕기가 어린 바위 서암
- 궁궐의 북쪽 담장과 영렬천, 방공호
- 조선총독부 관사터와 신문로 주택가에 남은 경희궁의 흔적
- 무덕문지, 그리고 조금 더
- ○ 여섯 번째 답사, 경운궁 - 황제의 궁궐 경운궁, 서양인의 거리 정동 | 이윤상 / 298
- 정동과 행궁으로서의 경운궁
- 심화학습 | 정동 일대의 외국공관과 학교, 교회, 호텔
- 고종의 경운궁 환궁과 황제 즉위
- 황제의 궁궐로서 면모를 갖추는 경운궁
- 황제의 궁궐에서 ‘태황제’의 거처로
- 고종의 죽음과 경운궁의 공원화
- ○ 일곱 번째 답사, 성균관 - 유생들의 꿈이 서린 성균관 | 박현순 / 356
- 성균관 가는 길: 하마비와 관기교
- 성균관을 둘러싸고 있는 반촌과 반수
- 성균관의 중심 대성전과 명륜당
- 유생들의 공간 동재 서재와 식당
- 성균관의 행정시설: 정록청, 직방, 서벽고, 서리청
- 성균관의 부속시설들: 향관청, 육일각, 존경각, 비천당
- 참고문헌 / 414
- 이미지 협조 / 416
- 찾아보기 / 421